삼성 TV 2025: 꼭 알아야 할 것들

0
32

2025년 초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전시회에서 공개된 삼성의 새로운 TV에 대한 설명을 이미 보셨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제품을 가장 긍정적으로 보이게 하려는 회사의 보도자료를 반복한 것뿐입니다. 이 글에서는 마케팅 언어를 걷어내고, 삼성전자가 2025년에 실제로 어떤 제품을 선보이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삼성의 Full HD TV 복귀

2021년, 삼성은 저해상도 디스플레이는 구식이라는 이유로 Full HD TV 생산을 중단했습니다. 소비자 관심이 UHD 모델로 완전히 이동했다는 판단이었습니다. 하지만 하이센스와 TCL과 같은 경쟁업체는 반대로 움직이며 Full HD 또는 H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초저가형 TV에 집중했고, 그 전략은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결국 삼성은 수익성 있는 시장 세그먼트를 놓쳤다는 사실을 인식했고, 2025년에는 F6000F 시리즈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이 시리즈는 Tizen 9.0 운영체제와 익숙한 One UI 인터페이스를 탑재한 실속형 스마트 TV입니다.

F6000F는 기본 디스플레이, 단순한 범용 리모컨, 필수 포트만 갖춘 외부 연결 등 비용 효율적인 설계를 특징으로 하며, 스마트 기능은 필요하지만 고급 기능에는 관심 없는 소비자에게 적합한 제품입니다.

Crystal 시리즈는 전반적으로 매우 저렴한 가격대의 제품으로, 화질도 그에 상응하는 수준입니다. 대표 모델로는 U7000F, U8000F, U9000F가 있습니다.

2025년형 삼성 OLED TV

삼성의 2025년형 OLED TV는 S85F, S90F, S95F의 세 가지 모델로 출시됩니다. 이들은 모두 같은 OLED 기술을 사용하지만, 소프트웨어 기능과 스피커 수에서 차이가 납니다. 일반적으로 가격이 비쌀수록 더 많은 기능과 고급 소프트웨어를 제공합니다. 특히 S95F는 2024년형 One Connect 외장 박스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OLED 패널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삼성은 55인치와 65인치 모델에는 자사 패널을, 77인치 S85F 모델에는 LG의 패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삼성의 QLED 및 Neo QLED TV (2025)

삼성의 2025년형 라인업에는 QLED와 Neo QLED라는 두 가지 주요 LED TV 시리즈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QLED는 저가형 제품군으로 화질은 보통 수준이며, Neo QLED는 더 향상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 일반적으로 진정한 10비트 색 심도를 지원하여 색 재현력을 개선합니다.

또한 8K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TV도 있으며, 제조 기술상 OLED보다 비싸지만 화질 면에서는 OLED보다 우위에 있지는 않습니다. 가격이 높은 8K TV는 아직 대중적인 인기를 끌지는 못했지만 시장에 계속 출시되고 있으며, 화면 보정을 통해 더 나은 시각적 경험을 제공한다고는 하지만 그 효과는 다소 과장되어 있습니다.

운영체제 외에는 2025년형과 2024년형 모델 간에 큰 차이는 없습니다.

라이프스타일 TV 2025

삼성의 라이프스타일 TV 시리즈는 영상 기술과 세련된 디자인을 결합하여 어떤 인테리어 공간에도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TV를 제공합니다. 대표 모델인 The Frame은 Art Mode 기능을 통해 TV가 꺼져 있을 때 명화나 현대 예술작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구독 기반의 방대한 예술 갤러리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들 TV는 저가형 QLED 패널을 사용하지만, 일부 모델은 밝기와 대비, 색상을 강화한 Neo Q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하여 다양한 조명 조건에서 뛰어난 화질을 제공합니다. The Frame은 교체 가능한 프레임을 지원하고, 실제 캔버스 같은 질감을 위해 무반사 매트 화면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라이프스타일 시리즈에는 다음과 같은 독특한 모델도 포함됩니다:

  • The Serif – 독특한 디자인
  • The Sero – 수직 및 수평 콘텐츠에 맞춰 회전 가능한 화면
  • The Terrace – 야외 시청을 위해 설계된 모델

이 모델들은 일반적으로 연중 중반에 출시됩니다.

2025년 삼성 TV에 대한 결론

최근 몇 년간 TV 기술은 정점에 도달했기 때문에, 정말 혁신적인 기능을 선보이기란 어렵습니다. 그래서 마케팅 부서들은 자주 실제보다 과장된 이름으로 기능을 포장합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인공지능(AI) 관련 기술입니다. Vision AI와 같은 용어는 일부 기능이 존재하긴 하지만, 대부분은 단지 마케팅 용어일 뿐입니다. 예를 들어, AI 프로세서라며 광고되는 것들은 실제로는 4코어 CPU에 16GB 또는 32GB 메모리를 갖춘 일반적인 칩에 불과합니다. 이 정도 성능으로 진정한 AI 기능을 구현하긴 어렵습니다.

또한 165Hz 주사율 지원은 주로 콘솔 게이밍에만 의미가 있으며, 영상 콘텐츠는 현재 120Hz를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 시청자에게는 거의 무의미합니다. 다만 게이머를 위한 기능으로는 Game Bar와 MiniMap Zoom 등이 포함되어 있어, 게임 환경을 개선하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